키보드 언어별 입력 설정을 해보겠습니다. 윈도우에선 한영키로 한글을 입력하는데, 리눅스에서는 기본 설정되어 있는 키는 키보드의 왼쪽 <ctrl> 와 <space> 바를 동시에 누르면 바뀝니다. 이게 불편하시면 설정에서 한/영 키로 바꿔줘도 되는데, 저는 어느순간 기본설정이 익숙해져 그냥 쓰고 있습니다.
메뉴버튼을 누르면 Input method 라는 메뉴가 보이는데, 한글로 쓰시는 분들은 제가 어떤 이름으로 나오는지 몰라서, 그냥 사진을 확대해서 올리겠습니다. 이렇게 생긴것만 누르시면 됩니다.
이거 누르면 나오는
이렇게 생긴 모양 누르시면 됩니다. 그럼 아래 사진처럼 윈도우가 뜨는데.
프레임워크 설정해주는 창이 뜹니다. 원래 아무것도 선택이 안되어 있는데, 드롭다운 버튼을 누르면
아래 사진같은게 뜹니다.
IBus 도 있지만.... 버그가 많아서....Fcitx 로 쓰시는걸 권장드립니다.
선택후 윈도우창 닫으시면 자동으로 저장이 됩니다.
그리고 다시 메뉴 버튼을 눌러 Fcitx 설정을 눌러 설정해줘야 합니다. 펭귄한마리 보이시죠? 누르시면 됩니다.
이런 창이 하나 열리는데, 키보드의 Korean 눌러 선택하면 되지만, 아마 한국어가 보이지 않으면 밑에 체크박스를 체크해제해서 보면 다른 언어들이 잔뜩 보이는데, 거기서 Korean 를 찾아서 누르시면 됩니다.
그럼 한글이란게 알아서 추가가 됩니다.
한영 전환 기본셋팅은 <Ctrl> + <Space> 입니다.
'오래된 구형 컴퓨터 살리기 프로젝트 > 리눅스 설치 및 설치관련 문제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버려진 노트북을 깨우다. 지금 글 포스팅하고 있는 노트북 스펙 공개. (0) | 2021.02.19 |
---|---|
리눅스는 쉽게. 리눅스에 웹브라우저 설치 (0) | 2021.02.18 |
리눅스 천리길 걸음마부터. 언어설정으로 한국어 쓰기. 다른 외국어도? (0) | 2021.02.12 |
20년 다 된 구형 노트북에 리눅스 설치해서 빵빵하게 쓰기 ( 일반사용자용) (0) | 2021.02.08 |
아주 오레된 컴퓨터에 리눅스 설치 (0) | 2018.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