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단 설치한후엔 사용자에 맞는 언어설정을 해야 쓸수있겠죠?
이 화면은 리눅스 민트로 했지만, 쥐분투나 루분투도 거의 대동소이 하니, 설정하는데는 별 어려움이 없을 겁니다.
만약 루분투나 쥐분투를 설정하는데 잘 모르겠으면 댓글에 물어보시면 제가 블로그에 접속하는대로 알려드리겠습니다.
밑에 메뉴를 누르면 이런 화면이 뜹니다.
여기서 Preferences 를 눌러 오른쪽으로 나오는 팝업창에서 약간 스크롤을 내리면 Languages 를 누르면,
빨간원의 버튼을 누르시면
이런 팝업창이 뜨는데, 여기서 Korean ( UTF-8 ) 을 누르면 메뉴버튼 부터 시작해서 모든 것이 한글로 바뀝니다.
물론, 전 컴퓨터에선 한글이 익숙하지 않아 영어로 진행합니다만, 메뉴의 위치는 언어만 다를뿐 다 똑같으니, 영어가 불편하신 분이더라도 따라하는데는 지장이 없을껍니다.
위의 리눅스의 시스템 언어자체를 한글로 바꾸려 해도 해당언어가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저기 리스트에 안나올겁니다.
그래서 Language support 의 install / Remove Languages... 버튼을 눌러 언어를 추가 해야 합니다. 그리고 쓰고 싶은 언어들도 설치해야 하겠죠?
저 빨강 동그라미에 있는 버튼을 누르면,
암호를 누르라는 화면이 뜹니다.
리눅스 설치할때 User 이름 넣을때 썼던, 암호를 넣으면 됩니다.
이런 화면이 뜨죠? 그럼 빨간 원의 Add... 버튼을 누르면 원하는 언어를 설치할수 있습니다. 일단 저는 이미 깔아놔서 저기 보이는 태극기가 떠 있습니다.
여기서 원하는 언어를 선택해서 밑에 보이는 Install 버튼을 누르면 설치가 됩니다. 주의하실건 언어 인코딩에 UTF-8 으로 설치하시길 권장 드립니다. 인코딩에 대한 이해도가 깊으신 분이라면 원하는 걸로 설치하면 되는데, 일단 일반사용자들은 UTF-8 이 많이 쓰기에 그걸로 하시면 무난하실겁니다. 나중에 개발자가 되시면 알아서 다른걸 설치하시겠지만요. ㅎㅎ
다음 포스팅은 키보드 설정입니다. 언어 입력을 제대로 하려면 일단 필수 코스 입니다.
'오래된 구형 컴퓨터 살리기 프로젝트 > 리눅스 설치 및 설치관련 문제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눅스는 쉽게. 리눅스에 웹브라우저 설치 (0) | 2021.02.18 |
---|---|
쉬운 리눅스 한글과 외국어 키보드 입력설정 (0) | 2021.02.13 |
20년 다 된 구형 노트북에 리눅스 설치해서 빵빵하게 쓰기 ( 일반사용자용) (0) | 2021.02.08 |
아주 오레된 컴퓨터에 리눅스 설치 (0) | 2018.12.24 |
구형 컴퓨터 살리기 전에.... (0) | 2018.12.21 |